연애, 결혼, 인간관계
[리섭] 일진들이 피해자들보다 성공하는 '불편한' 이유
RedPiller
2023. 3. 23. 18:00
728x90
반응형
공부를 미친 듯이 해보는 것도 좋음.
미친 듯이 '암기형 뇌'를 써보는 경험도 중요함.
'암기만 해서 무언가를 하는 애들이다?'
'응용력이 없다? 수능은 암기 공부다?'라고 비난을 함.
뇌에도 각각의 근육이 있음.
학생 시절에 암기를 하는 그 부분을 발달시켜 놓으면
살아가는데 정말 도움이 됨.
대학을 안 갈 것이어도 입학증을 따놓는 것이
그리고 1학기라고 다녀보는 것이 좋음.
학교에서는 수능 공부만 해서는 안됨.
마음에 안 드는 사람과 지내는 것을 극복해 내는 것을 배우는 것임.
그렇게 사회화가 됨.
오히려 공부 하나도 안 했던 일진들이 사업하다가 대박이 나기도 함.
여러 사람과 어울려보는 것도 좋은 경험임.
그 나이대에 해볼 수 있는 것은 해봐야 함.
돌이킬 수 없는 것에 대해서는 우선 후회하면 안 됨.
< 20대 때 후회하는 것? >
돈만 좇다 보니 단점이 취미가 없음.
여가 시간에 무엇을 해야 할지 모름.
취미를 배우면 '이거 배워서 뭐 해?'라는 생각이 듦.
저는 그 재미를 못 찾음.
익숙해지려면 서툰 시간을 거쳐야 하는데
노력을 왜 해야 하지?'라는 생각이 듦.
'돈도 안되는데!'
그러다 보니 쉴 때 할 것이 없음.
취미라는 것이 삶의 질에도 영향을 끼치는데
배워야 할지 잘 모르겠음.
'초보의 시절'을 왜 노력해야 하는지 잘 모름.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