레드필 지식

[레드필코리아] '여성성'은 '남성성'의 대안이 될 수 없습니다

RedPiller 2023. 3. 27. 14:46
728x90
반응형

 

 

'여성'은 '감성'을 프로세싱하고 이성을 다음에 프로세싱하고

 

(감성을 합리화시키려고 논거를 대는 것이 대부분)

 

- 무고 미투에 죄책감을 느끼지 않는 이유가 감정적으로 옳다고 생각하기 때문임.

 

- '토론'에서 자기 말만 하고 남의 말을 안 듣는 것도 있음.

 

'남성'은 '이성'을 프로세싱하고 감성을 다음에 프로세싱함.

 

- 그래서 남성들이 자살하거나 총기 사건을 많이 일으킴.

 

 

남성성의 대안으로 여성성이 답이 아님.

 

극단으로 치닫으면 부작용이 나옴.

 

지금 치닫고 있고 벌거벗은 임금님 놀이를 하고 있음.

 

캣맘? 등

 

여성은 보살펴주고 싶고 보듬어주고 싶은 것이 있음.

 

'돌봄'을 좋아함.

 

그리고 사물보다 '인간'에 관심이 많음.

 

 

여성이 권력을 잡을수록 '감성'이 먼저 됨.

 

감성이 곧 '질서'이자 '판별' 기준이 됨.(성인지 감수성)

 

 

여성이 주도하는 사회는 '비용'이 늘어남.

 

생물학적으로 남성은 '생산'이고 여성은 '비용'임.

 

여성은 임신과 육아하면서 보살핌을 받아야 하고

 

남성은 성욕 여성은 식욕, 그래서 더 많이 소비함.

 

 

조던 피터슨은 남성은 '오더'로 비유하고 여성은 '카오스'로 지정함.

 

다 이유가 있음.(생물학적 본능)

 

여성이 카오스인 이유는 감성적이기 때문이고

 

남성이 오더인 이유는 카테고리화하고 하이라키를 만들기 때문임.

 

둘 다 극단으로 가면 좋지 않음.

 

 

극단적인 남성성이 문제가 있지만 대체재로 여성성은 아님.

 

 

눈앞에 '정의'보다 '견제'가 중요함.

 

그래야 시스템 자체가 '지속'이 됨.

 

왜냐하면 모든 독재, 인권 침해 등은 '정의'로 시작하기 때문임.

 

 

여성성과 남성성은 함께 할 때 '시너지'가 발생함.

 

작금은 서로가 필요 없다고 해서 문제가 될 뿐임.

반응형